지난 9일 오후 1시48분께 제주시 구좌읍 음료제조업체 ㅈ사 공장에서 현장실습 중이던, 특성화고 실습생인 이민호군의 목과 몸통이 제품 적재기 프레스에 눌리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민호군의 나이는 불과 18세, 열여덟번째 생일을 불과 나흘 앞둔 날 이런 변을 당했다. 그 열흘 뒤인 19일 힘겹게 뛰던 이민호군의 심장이 멎었다. 11월23일, 그의 열여덟번째 생일을 나흘 앞둔 날이었다.
소규모의 열악한 실습환경은 한두해 전에 있었던 일은 아니다. 열악한 실습환경을 단번에 개선할 수도 없다는 건 잘 안다. 하지만, 그 어떤 이유에서건 아직 18세 생일도 맞아보지 못하고 죽음을 당하는 일은 없어져야 할 것이다. 특성화고 실습생이 목숨을 잃은 일은 올해만 두번째다. 지난 1월 전북 전주시 유플러스 고객센터 현장실습생 홍아무개양은 콜수를 다 못 채웠다는 문자를 남긴 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지난해 서울 구의역에서 스크린도어를 수리하다 열차에 치여 숨진 김아무개군도 현장실습생이었다. 그는 컵라면과 숟가락을 유품으로 남겼다.
“왜 실습하다 죽어야 합니까.” “이군의 죽음은 우리의 현실입니다.” 또 다른 ‘이군’들이 21일 이틀째 서울 광화문광장에 모였다. 교복 입은 학생 30여명은 촛불과 함께 하얀 국화꽃을 들었다. 인천의 한 특성화고에 다니는 학생은 우리는 단순한 노동의 대상이 아니라, 노동으로 꿈을 키워가는 존재다. 꿈을 키울 수 있는 현장실습 환경을 만들어달라고 호소했다. 특성화고 1학년에 재학 중인 또 다른 학생은 앞서 많은 선배들이 목숨을 잃었지만 달라진 게 하나도 없다. 현장실습이 너무 두렵다”고 털어놨다. 이들은 곧 또 다른 ‘현장실습생이 되어 산업 현장으로 나가야 한다.
이런 어린 학생의 죽음에, 요즘얘들은 근성이 없다, 이만한 일도 못하면 사회에 나가서 뭔 일을 할 수 있겠느냐고 책망할 것인가? 당연히 어른들이 개선을 해줘야 할 문제이다. 우리땐 더 심했다, 나 땐 더한 일도 했다라는 이런 얘기 말고, 자신들이 겪어봤으니 당연히 더 개선해 줘야 할 것이다.
사고가 난 업체 쪽은 이민호군이 정지 버튼을 누르지 않고 기계 안으로 들어갔다며 그의 과실을 주장하고 있으며, 경찰은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이민호군 부모는 발인을 미룬 채 진상 규명과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사고가 난 업체도 영세할 것이고 사업주 역시 힘들 것이라 예상하지만 어린 학생이 사망하였다. 잘잘못을 따지기 전에, 먼저 유가족들에게 진심어린 사과부터 해야할 것이다.
'뉴스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수돗몰에서 발암물질 검출 (0) | 2018.06.22 |
---|---|
삼성증권 초대형 배당사고, 유령주식 매도 직원은? (0) | 2018.04.09 |
울산 버스사고 블랙박스 동영상 공개 (0) | 2018.04.06 |
아동수당 10만원 및 기초연금 (0) | 2017.12.05 |
김종대 의원, 이국종 교수 비판 (0) | 2017.11.22 |
김동호 목사의 이형만 목사 발언 반박 (0) | 2017.11.20 |
현대카드 성.폭행 원문 (0) | 2017.11.07 |
한샘 성.폭행 사건 원문(원글) (1) | 2017.11.04 |
윤송이 엔씨소프트 사장 부친 사망(김택진 장인) (0) | 2017.10.27 |
한일관 대표 사망원인 녹농균(최시원 프렌치 불독?) (0) | 2017.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