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사회

제주 현장실습생 이민호 군의 죽음


지난 9일 오후 1시48분께 제주시 구좌읍 음료제조업체 ㅈ사 공장에서 현장실습 중이던, 특성화고 실습생인 이민호군의 목과 몸통이 제품 적재기 프레스에 눌리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민호군의 나이는 불과 18세, 열여덟번째 생일을 불과 나흘 앞둔 날 이런 변을 당했다. 그 열흘 뒤인 19일 힘겹게 뛰던 이민호군의 심장이 멎었다. 11월23일, 그의 열여덟번째 생일을 나흘 앞둔 날이었다.

현장실습에 나갔던 특성화고 3학년 이민호군이 사고로 숨진 이튿날인 20일 밤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특성화고 재학생과 졸업생들로 구성된 특성화고등학생권리연합회 회원들이 추모 촛불집회가 열렸다.  교복을 입은 채 집회에 참가한 한 재학생이 “고 이민호 실습생의 죽음은 우리들의 현실이다”라는 손팻말을 들고 있다.

소규모의 열악한 실습환경은 한두해 전에 있었던 일은 아니다. 열악한 실습환경을 단번에 개선할 수도 없다는 건 잘 안다. 하지만, 그 어떤 이유에서건 아직 18세 생일도 맞아보지 못하고 죽음을 당하는 일은 없어져야 할 것이다. 특성화고 실습생이 목숨을 잃은 일은 올해만 두번째다. 지난 1월 전북 전주시 유플러스 고객센터 현장실습생 홍아무개양은 콜수를 다 못 채웠다는 문자를 남긴 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지난해 서울 구의역에서 스크린도어를 수리하다 열차에 치여 숨진 김아무개군도 현장실습생이었다. 그는 컵라면과 숟가락을 유품으로 남겼다.

이들의 죽음을 설명하는 단어로 ‘사고’나 ‘자살’은 온당치 않아 보인다. 광주지방고용노동청 제주근로지도센터 관계자는 “사람이 끼는 등 사고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기계가 멈추는 시스템이 있어야 하는데 (사고 현장에) 그런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사고 현장이 담긴 시시티브이를 본 민주노총 제주본부 김혜선 노무사는 “이군은 목이 짓눌린 채 4분여를 홀로 버텨야 했다”고 말했다. 이수정 청소년노동인권네트워크 노무사는 “고용노동부의 현장실습표준협약서에 따르면 현장실습생에게 지도 능력을 갖춘 담당자를 배치해야 하지만, 사고 당시 작업장에는 이군뿐이었다”고 말했다.

 

“왜 실습하다 죽어야 합니까.” “이군의 죽음은 우리의 현실입니다.” 또 다른 ‘이군’들이 21일 이틀째 서울 광화문광장에 모였다. 교복 입은 학생 30여명은 촛불과 함께 하얀 국화꽃을 들었다. 인천의 한 특성화고에 다니는 학생은 우리는 단순한 노동의 대상이 아니라, 노동으로 꿈을 키워가는 존재다. 꿈을 키울 수 있는 현장실습 환경을 만들어달라고 호소했다. 특성화고 1학년에 재학 중인 또 다른 학생은 앞서 많은 선배들이 목숨을 잃었지만 달라진 게 하나도 없다. 현장실습이 너무 두렵다”고 털어놨다. 이들은 곧 또 다른 ‘현장실습생이 되어 산업 현장으로 나가야 한다.

 


이런 어린 학생의 죽음에, 요즘얘들은 근성이 없다, 이만한 일도 못하면 사회에 나가서 뭔 일을 할 수 있겠느냐고 책망할 것인가? 당연히 어른들이 개선을 해줘야 할 문제이다. 우리땐 더 심했다, 나 땐 더한 일도 했다라는 이런 얘기 말고, 자신들이 겪어봤으니 당연히 더 개선해 줘야 할 것이다.

사고가 난 업체 쪽은 이민호군이 정지 버튼을 누르지 않고 기계 안으로 들어갔다며 그의 과실을 주장하고 있으며, 경찰은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이민호군 부모는 발인을 미룬 채 진상 규명과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사고가 난 업체도 영세할 것이고 사업주 역시 힘들 것이라 예상하지만 어린 학생이 사망하였다. 잘잘못을 따지기 전에, 먼저 유가족들에게 진심어린 사과부터 해야할 것이다.